각국을 겨냥해 상호관세를 부과한
페이지 정보
작성자 test 댓글 0건 조회 36회 작성일 25-04-04 01:21본문
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 각국을 겨냥해 상호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남극 근처 무인도인 허드섬과맥도널드섬에도 '10% 기본 상호관세' 고지서가 청구됐다.
영국 가디언 등은 2일(현지시간) 미국이 이날 허드섬과맥도널드섬에도 기본 상호관세인 10%를 부과했다고 보도했다.
무인도인 ‘허드맥도널드제도’(10%)도 포함됐다.
남극 대륙에서 약 1700㎞ 떨어진 섬으로, 펭귄·물개·바다표범 등만 서식하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이다.
이 외에도 투발루, 바베이도스, 토켈라우 등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섬나라가 대거 관세 부과 국가에 이름을 올렸다.
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할.
특히 무역이 존재하지 않는 허드섬과맥도널드제도에까지 10% 관세를 부과한 점도 빈축을 샀다.
경제전문가들은 이같은 조치가 단기적 충격을 넘어서 세계 무역 체계 전반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.
글로벌 금융자문사 드비어 그룹(deVere Group)의 CEO 나이젤 그린(Nigel Green)은 “트럼프.
미국이 인도양 남부의 무인도인 '허드맥도널드제도'에 10%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기 때문입니다.
이 섬은 호주 퍼스에서 배로 2주 이상 걸리는 외딴 지역으로, 사람은 없고 펭귄과 바다표범만 사는 곳입니다.
지금은 또 행정명령에서 빠져있는데, 정확한 세율을 두고도 혼란이 일고 있습니다.
실제로 호주령 허드맥도널드제도는 남극대륙에서 약 1700㎞ 떨어진 인도양의 화산섬으로 물개와 펭귄, 여러 종류의 새들이 서식하지만 사람은 살지 않는다.
7의 강진으로 3000여명이 사망한 미얀마도 미국의 상호관세를 피하지 못했다.
그러나 전 세계에서 미국의 가장 강력한 제재를 받는 러시아.
영국 매체 BBC 등에 따르면 남극 근처 허드섬과맥도널드섬은 무인도로, 호주 서부해안 도시 퍼스에서 남서쪽으로 3천200㎞ 떨어져 있어 배를 타고 2주를.
그 이전의 5년간에는 허드섬과맥도널드섬의 대미 수출 규모가 연간 1만5천달러(2천만원)에서 32만5천달러(약 5억원) 정도였다.
당초 X에 게시된 표에는 인도양 남부의 무인도 ‘허드맥도널드제도’에도 10% 상호관세가 발표돼 논란이 일었으나 부속서에서 언급이 빠졌다.
남극 대륙에서 약 1700km 떨어진 이 섬은 펭귄, 물개, 바다표범 같은 야생동물만 서식하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이다.
또 프랑스령 해외영토 생피에르 미클롱섬(50.
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호주 서부 해안에서 수천 ㎞ 떨어진 남극 근처 허드섬과맥도널드섬도 10%인 기본 상호관세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.
노퍽섬은 29%의 높은 상호관세를 맞았다.
호주의 나머지 지역보다 19%포인트 높은 세율이다.
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는 "노퍽섬이 미국의 거대 경제에 경쟁자인지.
무인도인 '허드 맥도널드 제도'에 상호관세 10%를 부과했다.
해당 섬은 남극대륙에서 약 1700㎞ 떨어져 있으며, 높이 2745m의 활화산인 ‘모슨 피크’가 있는 허드섬과맥도널드섬으로 구성돼 있다.
1947년 호주에 편입돼 현재는 호주의 7개 ‘외부 영토’ 중 하나인 이 섬은 호주 퍼스에서 배를 타고 꼬박 2주.
백악관의 상호관세 발표 자료에 따르면 허드맥도널드제도에는 10%의 관세율이 부과될 예정이다.
그런데 이 지역은 호주 최남단의 무인도로 바다표범과 펭귄만 잔뜩 살고 있어 미국이 관세를 매기는 의미가 사실상 없다는 빈축을 사고 있다.
이에 상호관세 발표 직후 소셜미디어에서는 트럼프가 펭귄에게.
- 이전글현대인의 잘못된 생활습관과 자 25.04.04
- 다음글Parę początków gwoli których można dać do erotv 25.04.04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